-
22년 6월 FOMC 이후 전망과 투자 방향재테크 2022. 6. 13. 05:00
오늘은 22년 6월 FOMC 이후 전망과 투자 방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FOMC 일정
6월 FOMC는 6월 14일~15일까지 진행되며 15일, 우리나라 시간으로 16일 새벽에 결과가 발표됩니다.
논의되는 내용
지난 5월의 미국 기준금리 빅 스텝 인상에도 불구하고 미국 6월 소비자물가지수는 3.19bp 상승을 보여주며 인플레이션 정점론을 무산시켰습니다. 물가는 끊임없이 오르고 있으며 얼마 전 미국 옐런 재무부 장관도 물가가 "받아들이기 힘든 수준"이라고 얘기했습니다.
2022년 5월 중순 기준 미국 LA 물가 / 출처: 원지의 하루 유튜브 미국 물가 수준 위험하다 위험하다 말이 많아서 궁금해 현지에 체류 중인 한 우리나라 유튜버의 영상에서 가져왔습니다. 미국 현지 물가, 실감이 나시나요? 우리나라의 2배~4배 이상입니다. 옐런 재무부 장관의 말이 실감이 납니다.
우리나라 물가도 많이 올랐죠. 장바구니 물가에서 시작해서 곧 여름 휴가철인데 엔데믹 분위기로 접어들며 해외여행 금지도 풀리며 비행기 푯값 알아보며 얼마나 물가가 올랐는지 확인하셨을 겁니다. 그런데 사실 우리나라 물가도 많이 올랐지만 OECD 가입국들 사이에서 비교한다면 한결 걱정을 내려놓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OECD에서 발표한 4월 기준 세계 OECD 가입국 소비자 물가 상승률의 평균은 9.2%, 우리나라는 4.8%입니다. 원인은 다들 잘 아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으로 인한 유가 등 원자재 가격 상승, 코로나 당시 엄청난 수준의 양적완화 때문에 지금도 엄청난 수준의 돈이 시중에 유통되고 있다는 점 등입니다.
세계 경기 침체를 우려는 점점 커지고 있으며 OECD는 세계 GDP 상승률을 종전보다 1.5%를 하향조절해 3%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세계은행도 4.1%에서 2.9%로 내리며 많은 나라에서 경기 후퇴를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우려했습니다. 세계 곳곳에서 스태그플레이션(물가 상승+경기 침체)과 슬로우 플레이션(물가 상승+경제 성장세 둔화) 등이 나타날 전망이라는 겁니다.
FED의 파월 의장도 인플레이션을 잡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잡힐 때까지 금리를 올리겠다는 입장을 고수해왔습니다. 인플레이션이 정점을 찍고 꺾일 줄 알았지만 더욱 심각해지는 지금, 이번에는 기준 금리를 0.5bp 올리는 지난 빅 스텝 인상에서 나아가 0.75bp 올리는 자이언트 스텝 인상을 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지난 5월 가능성이 점쳐졌던 QT는 6월 1일부로 시작되었습니다. QT란 양적 긴축을 뜻하는 말이며 경기 활성화를 위해 시장에 돈을 푸는 양적 완화(QE)의 정반대에 있는 개념입니다. 즉, 시장에 푼 돈을 도로 흡수하기 시작하는 겁니다. 긴축 규모는 9조 달러라고 합니다.
투자 방향
엔화 약세에 따른 엔화 투자 비트코'엔' , 과연 반등할까요? / 출처: 머니 투데이 인플레이션 정점 예상을 무너뜨리고 발표된 최근의 물가 지수 이후 하락한 각국 지수 때문에 바닥에서 사야겠다고 생각하고 투자하는 사람이라면 지금 투자하기보다는 신중해야 할 때인 것 같습니다.
만약 인플레이션이 정점을 찍고 사람들이 바닥이라고 인식하고 사기 시작하는 때가 온다면 지난 포스팅의 투자 방향을 참고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5월 FOMC 이후 전망과 투자 방향
오늘은 5월 FOMC 이후 전망과 투자 방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FOMC 일정 5월 FOMC는 5월 3일~4일까지 진행되며 4일, 우리나라 시간으로 5일 새벽에 결과가 발표됩니다. 논의되는 내용 작년 12월
trikkypat.tistory.com
세계 각국의 금리가 꾸준히 올라가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각국 국채도 좋습니다. 하지만 기준 금리가 올라가면 계속 더 높아진 금리의 국채가 발행되고 이전에 발행된 국채의 가치는 비교적 떨어지기 때문에 금리 인상의 타이밍을 잘 알아보고 매입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따라서 기준 금리가 최고점 일 때 최고 국채 금리로 발행된 국채는 국채 금리와 국채 가격은 반비례하는 원리를 벗어나 가치가 올라갈 것으로 보입니다.
테이퍼링 대비하는 미국 국채 투자 1편
9월 FOMC가 끝났습니다. 언론과 시장의 예상대로 11월 즈음 테이퍼링 발표가 있을 것으로 보이고 그 액수는 월 1200억 달러라고 합니다. 또한 2022년부터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더 큰 신호도 보여줬
trikkypat.tistory.com
테이퍼링 대비하는 미국 국채 투자 2편
오늘은 달러 이자 받아 가며 투자할 수 있는 수단인 미국 국채를 ETF 같은 펀드로 투자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미국 국채 직접 투자하는 법 테이퍼링 대비하는 미국 국채 1편 9월
trikkypat.tistory.com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년 7월 FOMC 이후 전망과 투자 방향 (10) 2022.07.27 예정된 22년 7월 우주 발사 (8) 2022.07.01 예정된 22년 6월 우주 발사 (6) 2022.06.02 RKLB 22년 1분기 실적 발표 (6) 2022.05.23 ASTR 22년 1분기 실적 발표 (4) 2022.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