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년 12월 FOMC 내용과 투자 방향재테크 2024. 12. 27. 00:58
오늘은 24년 12월 FOMC 내용과 투자 방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FOMC 일정
12월 FOMC는 12월 17일 ~ 12월 18일까지 진행되었고 2024년 12월 18일, 우리나라 시간으로 12월 19일에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논의되는 내용
결론부터 말하자면 기준 금리를 지난번에 이어 4.50~4.75%에서 4.25~4.50%로 낮춘다고 합니다. 하지만 기존 계획과는 달리 내년에 금리 인하의 폭과 속도를 늦출거라고 암시했습니다. 연준 위원들은 점도표에서 내년 금리를 지난 9월 4차례 인하로 3.25~3.5%에서 이번 2차례 인하 3.75~4.0%로 크게 인하 폭을 올렸습니다. 내년 이후엔 2026년에 두차례, 2027년에 한차례 내려서 기준 금리를 3.0% 수준으로 낮출 계획을 시사하기도 했습니다. 이 금리는 연준이 생각하기에 긴축적이지도, 팽창적이지도 않은 금리로서 앞으로 연준이 시장이 원하는 만큼 낮은 수준으로 금리를 인하하지는 않을 것임을 암시하기도 했습니다.
실질 GDP는 2.0%에서 2.5%로 높아져서 지표 상으론 기준 금리가 경기를 크게 누르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실업률은 4%대에서 향후 1~2년간 크게 오르거나 낮아지지 않을 전망으로 보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도 나타냈듯이 4%대의 실업률은 경제학자들이 거의 완전 고용으로 판단하는 정도라고 합니다. 2025년 PCE 인플레이션 근원 물가지수는 11월 2.1% 예상에서 12월 2.5%로 지금까지 만큼은 아니겠지만 내년에도 물가 안정을 위한 노력이 필요해보입니다.
투자방향
9월 FOMC 포스팅 지난 11월 포스팅에서 9월 첫 빅 컷 금리 인하 이후 투자 방향이 어떻게 흘러갈지 예상에 대한 검증을 했었는데 투자 상품에 대한 수익 실현을 많이 하는 연말, 그리고 한국 계엄령을 겪은 후 지금은 어떤지 살펴보겠습니다.
주식시장 - 변동성이 큰 때인 12월 FOMC, 일본 기준 금리 결정, 네 마녀의 날을 연이어 거쳐 조정을 받은 모습입니다. 연말엔 수익 실현을 많이 하는 때라고 합니다.
달러 환율 하락 - 11월 6일 트럼프가 미국 대통령에 재당선 이후 트럼프 당선인이 미국에 수입되어 들어오는 모든 제품에 10~60% 관세를 매기겠다는 미국 보호무역주의 정책에 따른 원화 약세 압력 때문에 환율이 올랐었는데 12월 3일 한국 계엄령 이후 안전자산 달러에 대한 수요 폭발로 1460원까지 원-달러 환율이 뛰었습니다.
금값 상승 - 달러 환율이 상승함에 따라 금값은 하락한 모습을 보여줬었는데 최근 한국 계엄령 이후 안전자산 금이 다소 상승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참고문헌 - 한국경제TV 2024년 12월 19일 조윤지, 김지윤 외신캐스터 기사, BondSavvy 12월 FOMC Dot Plot 관련 칼럼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년 4분기 미국 항공우주주 25종목 실적 발표&일정 1편 (4) 2025.01.27 예정된 25년 1월 우주 발사 (0) 2025.01.12 PL 25년 3분기 실적 발표 (0) 2024.12.11 예정된 24년 12월 우주 발사 (0) 2024.11.27 미국 1위 위성 라디오 워런 버핏 관련주 SIRI의 모든 것 (0) 2024.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