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5년 3월 FOMC 내용과 투자 방향
    재테크 2025. 4. 3. 19:06

    오늘은 25년 3월 FOMC 내용과 투자 방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FOMC 일정

    출처 입력

    3월 FOMC는 3월 18일 ~ 3월 19일까지 진행되었고 2025년 3월 19일, 우리나라 시간으로 3월 20일에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논의되는 내용

    결론부터 말하자면 기준 금리를 1월에 이어 이번에 4.25~4.50%로 동결했습니다. 하지만 앞으로 추가 금리 인하는 있을 예정으로 올해 연말까지 2번 더 금리 인하를 예상했습니다. 지난 1월에 향후 지표들을 관찰, 평가 후 5월부터 다시 금리 인하를 시작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이 현재 미국의 관세 정책은 단기 인플레이션에 약간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파월 의장은 일시적인 것이라고 못 박았습니다. 전망은 미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2.1%에서 1.7%로 하향 조정,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은 기존 2.5%에서 2.7%로 0.2% p 상향, 실업률 예상치는 4.3%에서 4.4%로 상향되었습니다.

     
    투자방향

    지난 1월 FOMC 이후 예상되었던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으로 인한 변화를 살펴보겠습니다.


    1월 예상→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한 이후 약속한 강력한 경제 성장, 연준의 금리 인하, 인플레이션 완화 등이 미국 증시 성장을 가져올 가능성이 크다고 예상된다고 합니다. AI, 방산, 금융, 에너지 섹터 종목들이 규제 완화, 감세 정책 등에 힘입어 성장이 예상된다고 합니다. 오픈 AI, 오라클, 소프트 뱅크가 합작하는 AI 합작사 스타게이트의 설립 계획 발표도 AI 종목에 힘을 실어줄 것이라고 합니다.

     

    4월 현재↓

     
    관세 전쟁이 격해지며 미국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며 주가 하락의 주된 원인이 되었습니다.

    1월 예상→ 또한 미국 경제 성장을 위해 트럼프 대통령이 더 높은 금리의 미국 채권도 발행할 가능성이 큰 가운데 미국 채권 금리가 점점 올라가면 미국 증시에 몰린 돈이 채권 시장으로 빠질 위험도 있습니다. 더 높아지는 안정적인 수입원을 제시하는 데 위험을 감수하고 미국 증시에 투자할 이유가 없어지기 때문입니다.

     

    4월 현재↓

    미국 정부의 막대한 국채 이자 부담을 줄이기 위해 트럼프 대통령은 국채 금리 낮추기에 집중했습니다. 이에 따라 국채 금리가 진정되어 가고 있는 모습입니다. 트럼부 행정부가 성과보다는 채권시장 안정을 통해 국채와 관련된 금융 상품들의 이자 부담 진정을 우선 목표로 삼았다는 해석입니다.


    1월 예상→원-달러 환율도 현재 1달러 당 1450원 대에서 하반기로 갈수록 점점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합니다. 달러 강세는 미국 경제 성장에 도움이 안 되기 때문입니다. 예상 환율은 1달러 당 1300~1400원 사이입니다.

     

    4월 현재↓

     
     
    트럼프 정부의 보호무역주의와 높은 관세 때문에 달러가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1월 예상→일본 정부가 점점 금리를 올리고 있고 2025년에 1~2차례 추가로 금리 인상을 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2023년 첫 갑작스러운 일본 금리 인상 때에 엔 캐리 자금이 대부분 청산되었고 올해는 여전히 미국 달러 가치가 높은 상태에서 엔화 가치가 높아져도 완전 청산이 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고 합니다. 이번 일본 기준 금리 인상 때에는 미국 증시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기도 했습니다.

     

    4월 현재↓

     

    1월에 0.50%로 일본이 기준 금리를 올린 후 큰 변화가 없는 상태입니다.


    1월 예상→금 가격이 불과 몇 년 전에 비하면 2배 정도 올라 있는데 미국 관세 정책이나 감세 정책 같은 요소들이 지정학적 긴장감 유발과 미국 재정 적자 위험 등 안전 자산 선호 심리를 부추기며 금 값을 올리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중국도 금 매입을 재개했고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우선주의 정책에 따라 세계 경제에 영향이 있을 경우 각국 정부들의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고 합니다.

     

    4월 현재↓

    4월 2일 미국 보호무역주의 상호 관세 발표 이후로 국제 금 값이 사상 최대치로 치솟았습니다. 국제 경기가 출렁임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 현상 때문이라고 합니다.

     

    참고문헌 - 2025년 3월 20일 ZDNET 손희연 기자 기사, 2025년 4월 2일 한겨레 정남구 기자 기사, 2025년 3월 6일 데일리한국 손희연 기자 기사, 2025년 3월 13일 뉴데일리 김민아 기자 기사, 2025년 4월 3일 SBS 비즈 송태희 기자 기사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