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 희망 적금 가입하고 이자 최대 10% 받는 법재테크 2022. 2. 24. 13:21
정부 주도 하에 각 은행에서 만기시 10% 이자를 주는 적금을 출시했습니다. 만기 시에 10%짜리 적금은 흔하지 않아 관심이 뜨거운데 오늘은 청년 희망 적금 가입하고 이자 최대 10% 받는 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국민은행의 내용이며 기본적인 내용은 이 표에 다 정리되어 있습니다.
가입대상
1. 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인 사람.
(만 34가 넘었으나 병역을 이행하였고 병적 증명서가 있다면 최대 6년 추가 인정-해당되는 병과는 위의 표 참조)
(외국인도 183일 이상 체류했으며 1년 중 일정 기간 이상에 세금을 냈다면 가입 가능하다고 알려짐)
2. 신청자의 재산 상황과 현재 근로 상태는 상관없고 직전연도(2021년 1월~12월) 총 급여액이 3600만 원 이하 혹은 종합 소득 금액 2600만 원 이하.
금리
시중 11개 은행에서 청년 희망 적금을 내놓았으며 모두 기본 5% 금리에 우대 금리 최대 1%를 붙여서 최대 6% 기본 금리를 주고 있습니다.
여기에 저축 장려금을 청년 희망 적금을 내놓은 11개 은행에 정부에서 4%를 지원하여 최대 10% 금리 적금이 되었습니다.
이 부분 때문에 0.5%+0.3%+0.5% 하면 최대 기본 금리가 6.3%가 아니냐는 생각이 들 수도 있으나 우대 이율은 최대 1.0%로 최대 우대 기본 금리는 6%입니다.
납입금액
천 원단위로 회차당 천 원 이상 최대 월 50만 원 이하
청년 희망 적금만의 장점
비과세 혜택
일반 적금은 이자 소득세율이 15.4% 적용되어 만기에 받는 이자가 줄어들지만 청년 희망 적금은 비과세 상품이라 세금이 부과되지 않습니다.
저축 장려금 최대 36만원
기본 이자 6%에 1년 유지 시 2% 최대 12만 원 + 2년 유지 시 4% 최대 24만 원 = 최대 36만 원의 저축 장려금을 정부에서 지원합니다.
계약기간
많은 고금리 적금이 계약기간이 1년인데에 반해 청년 희망 적금은 계약 기간이 2년입니다. 그만큼 만기 시 수령액이 커집니다.
수령액
국민은행에서 우대 기본 이율 6%로 월 50만 원씩 2년간 꾸준히 납입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납입 최대한도 50만 원 x24개월=1200만 원
2년간 6% 금리 이자=75만 원
세금 비과세
저축 장려금 36만 원
----------------------------총 1311만 원, 2년 적금 이자 111만 원
가입 방법
2월 25일 금요일까지는 5부제 가입 방식이 적용되며 28일 다음 주 월요일부터는 3월 4일까지 가입이 가능한 사람은 모두 가입할 수 있습니다. 영업일 운영시간 중 은행에서 대면 가입, 해당 은행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자격 확인, 가입이 가능합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RKLB 21년 4분기 실적 발표 (12) 2022.03.02 SPCE 21년 4분기 실적 발표 (20) 2022.02.25 미 항공 우주 종목 2월 셋째 주 업데이트 (16) 2022.02.17 21년 4분기 미국 항공우주주 19종목 실적 발표&일정 2편 (8) 2022.02.11 예정된 22년 2월 우주 발사 (18) 2022.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