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년 11월 FOMC 내용과 투자 방향재테크 2024. 11. 11. 23:52
오늘은 24년 11월 FOMC 내용과 투자 방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FOMC 일정
11월 FOMC는 11월 6일 ~ 11월 7일까지 진행되었고 2024년 11월 7일, 우리나라 시간으로 11월 8일에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논의되는 내용
결론부터 말하자면 기준 금리를 지난번에 이어 4.75~5.0%에서 4.50~4.75%로 낮춘다고 합니다. 물가 안정과 최대 고용이라는 두 목표가 대체적으로 균형을 이루고 있다고 판단했다고 합니다. 다만 정책결정문에서는 위원회는 인플레이션이 지속 가능하게 2%로 향하고 있다는 더 큰 확신을 얻었다는 문구가 지난달과는 달리 삭제된 바, 12월에는 금리 인하가 중단될 수도 있다는 가능성도 생겼습니다.
근거가 되는 미국 전년대비 소비자물가지수, 10월엔 2.4%로 문제없이 안정되어 가고 있습니다.
왼쪽: 미국 고용률 / 오른쪽: 미국 실업률 고용률 60%, 실업률 4.1%로 고용시장도 코로나 전까지 거의 회복한 듯 견조한 모습입니다. 경제학자들은 실업률이 4~6%이면 완전고용이며 그 당시의 고용률은 96~94%로 고려한다고 합니다. 현재 수준에서는 완전고용으로 고려할 수도 있겠습니다.
투자방향
9월 FOMC 포스팅 중 지난 9월 첫 빅 컷 금리 인하 이후 투자 방향이 어떻게 흘러갈지 예상을 했었는데 어떻게 흘러가고 있는지 검증해 보겠습니다.
주식시장 - 미국 기준 금리 인하 결정 이후로 주식 시장이 활발 움직이고 있습니다.
달러 환율 하락 - 트럼프가 미국 대통령에 재당선되었습니다. 예상과는 달리 달러 환율이 올랐는데 트럼프의 재당선 기조에 따라 달러 환율이 오르는 것은 트럼프 당선인이 미국에 수입되어 들어오는 모든 제품에 10~60% 관세를 매기겠다는 미국 보호무역주의 정책에 따른 원화 약세 압력 때문입니다.
금값 상승 - 금값은 달러와 반대로 가는 경향을 갖고 있습니다. 달러 환율이 오름에 따라 금값이 최근 하락한 모습입니다.
트럼프 당선인이 자신의 행정부를 어떻게 구성해 정책을 어떻게 이끌지에 따라 앞으로의 경제 상황 또한 바뀔 것으로 보입니다.
참고문헌 - 서울경제 2024년 11월 8일 자 김흥록 특파원 기사, 조세일보 2024년 11월 8일 자 이민재 기자 기사, 중앙일보 2024년 11월 8일자 염지현 기자 기사, 시사저널 2024년 11월 7일 자 정윤성 기자 기사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RKLB 24년 3분기 실적 발표 (0) 2024.11.13 트럼프가 갖고 있거나 관련된 종목들 (0) 2024.11.12 VSAT 25년 2분기 실적 발표 (2) 2024.11.10 BKSY 24년 3분기 실적 발표 (0) 2024.11.09 GSAT 24년 3분기 실적 발표 (0) 2024.11.08